점점 없어지는 머리카락, 훤히 보이는 정수리, 점점 후퇴하고 넓어지는 이마, 볼륨감이 없어지는 헤어스타일 등 탈모는 모든 스트레스의 원인이며, 현재까지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1. 탈모 정의 및 원인
탈모 뜻 그대로 털이 신체에서 탈락하는 것을 말하는 등,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현상을 총칭하며, 탈모가 진행되면 결과적으로 대머리가 됩니다.
탈모의 원인으로 유전성 탈모와 비 유전성 탈모로 나뉘는데 유전성 탈모로 남성은 정수리의 머리숱이 줄어들고, 이마선이 후퇴합니다. 보통 눈썹을 기준, 손가락 4개 넓이보다 이마가 넓을 때 탈보로 본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이마가 넓은 사람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탈모라고 정의할 순 없습니다. 여성은 머리 정중앙부터 좌 우로 사라지는 유형의 탈모로 나타납니다.
비 유전성 탈모 원인 중 스트레스성 탈모가 대부분이며 특정 부위가 동그랗게 500원 크기의 동전처럼 빠지는 원형탈모 또는 긴 선을 그리며 빠질 수 있으며, 머리카락이 수명이 다하여 새로운 머리카락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휴지기 탈모가 있습니다. 현대 의학과 생물학, 등에서 탈모를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 주원인을 이야기하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뉩니다. 직접적 원인은 아니더라도, 스트레스, 계절, 고혈압, 당뇨병 같은 질환도 머리카락이 빨리 빠지는데 영향을 주고 요즈음 잦은 샴푸행위가 모근의 약화로 이루어진다는 낭설이 있는데 이는 사실상 의미 없고 위생적으로 더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남성형 탈모의 가장 주요한 원인은 유전과 DHT, 2가지 원인이 동시에 작용해야만 탈모 증상이 발현되고 여성 탈모의 주원인으로 임신과 출산이 있겠습니다. 모발의 성장주기 중 휴지기에 많이 접어들며 나타나는 탈모이며, 사람의 모발은 3~6년을 주기로 생장과 소멸을 반복하며 3~4주에 걸쳐 퇴화한 후 3~5개월 간 모발이 빠진 상태가 지속되는 휴지기로 접어듭니다. 임신부는 임신부는 임신하는 동안 모발 성장 주기가 정지하고, 출산 후에 휴지기 탈모를 한꺼번에 겪지만 시간이 지나면 회복하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3. 치료법
명확한 치료법은 없으며 남성형 탈모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은 탈모의 속도를 늦추거나 다소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지 치료법은 없습니다.
4. 모발이식
모발이식은 현재까지 나온 치료법 중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로 금전적 여유와 관리하는 노력만 있으면 사실상 탈모도 모발이식으로 치료하면 됩니다. 대부분 후두부(뒤통수)의 모근을 가져와 정수리나 이마 등 모자란 부분에 심는 것으로, 이식 전 6개월 이상 피나스테리드, 및 두타스테리드 계열 약물을 꾸준히 먹어줘야 합니다. 모발이식 이후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이식한 머리만 남아있고, 원래 있던 나머지 모발들이 빠져 더 흉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직모인 머리보다 곱슬머리와 뒷머리의 머리숱이 많은 사람 일 수록 모발이식의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5. 기타 알아두면 좋은 습관
- 너무 뜨거운 물에 머리를 오래 감지 말 것,
- 머리를 감고 수건 등 머리를 말릴 때 박박 세게 닦지 말 것.
- 왁스나 스프레이 등 머리 손질 약품을 쓴 다음에는 반드시 머리를 감고 잘 것
- 샴푸를 쓰기 전 충분히 손에 거품을 내고 사용할 것
- 긴 머리를 묶을 경우 너무 세게 묶지 말 것
- 머리카락이 젖은 상태에서 눕지 말 것 등이 있습니다.
6. 대안법
머리카락이 후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전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탈모를 인정하고 받아들여 스트레스를 줄이면 모든 만병의 근원은 스트레스라는 말이 있듯이 탈모에도 도움이 됩니다.
탈모를 감추지 말고, 차라리 삭발이나 스킨헤드로 하는 방법도 있으며 아예 머리 자체를 문신으로 덮어 삭발한 것처럼 만들어 탈모 부위에 칠을 해 흑채를 뿌린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두피문신이 있으며, 현재 국내에선 구준엽이나 염경환이 한 문신이 유명합니다.
7. 탈모에 좋은 음식
충분한 수분 섭취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주어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탈모 예방에 좋습니다.
'유용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에 어떤 것들이 있는 지 알아보자 (1) | 2023.04.03 |
---|---|
아동 수당, 아동 수당 지급 제도 및 신청 방법 알아보자 (0) | 2023.04.02 |
봄 제철 음식 알아보기 (0) | 2023.03.31 |
범죄피해자 보호· 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마음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03.29 |
댓글